
UNIST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사진) 교수팀과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설선혜 교수팀이 63개국 255명의 국제 연구진과 함께 메시지 개입 방식이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고 1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국제 연구팀은 기후 변화 대응 행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11가지 심리적 메시지를 선정했다.
메시지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어두운 미래, 기후 과학자 의견, 타인의 우려, 미래 세대에 대한 영향 등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각 메시지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기후 변화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믿음 △기후 변화 대응 정책 지지 정도 △각종 기후 위기 정보 공유 의지 △실제 나무 심기 캠페인 수행 등 네 가지 지표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63개 국가로부터 총 5만9440명의 참가자 데이터를 확보했다.
분석 결과, 어두운 미래를 강조하는 메시지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 공유에는 효과적이지만 정책 지지나 개인 신념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나무 심기 캠페인 활동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부정적인 메시지가 무력감을 유발해 행동 변화를 방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다른 메시지로도 실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사람들은 다양한 기후 메시지에 다르게 반응했고, 국가마다 반응도 달라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 유도가 어려운 과제임을 확인했다.
정동일 교수는 “연구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를 이끄는 메시지 전략을 이해할 수 있었다”며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와 정책이 함께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