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완섭(사진)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현 정부 정책 기조대로 “댐 건설과 하천 준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장관 후보자가 울산지역 주요 핵심 현안인 댐 치수력 확대 사업에 관심이 높은 만큼 향후 시 추진 사업에 탄력을 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21일 김 후보자가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요구 자료를 보면 김 후보자는 물·하천 관련 주요 현안으로 ‘홍수 피해 예방 대책’ ‘여름철 녹조 대응’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를 꼽았다.
그는 홍수 피해를 예방할 방안으로 “그간 소극적이었던 댐 건설과 하천 준설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홍수 예보·정보 전달을 강화하는 등 치수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여름 수해와 문재인 정부 때 금강과 영산강 보 개방·해체 결정이 무리하게 이뤄졌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 발표를 계기로 댐을 신설하고 하천을 준설하는 등 치수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댐과 관련해서는 10곳 안팎을 신설하거나 리모델링한다는 계획으로 현재 후보지를 추리고 있다.
기후 위기로 빈발할 극한 홍수·가뭄에 대응하고 늘어날 물 수요에 맞춰 물을 공급하려면 댐이 필요하다는 것이 환경부 입장이다.
환경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이후 1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21곳에 댐을 신설해달라고 신청했다. 신청 지자체는 울산 울주군, 경남 김해·거제·의령·함양, 경북 포항·김천·예천·경주, 전남 순천·장흥·강진·고흥·영광, 경기 연천, 강원 삼척, 대구 등이다.
일각에서는 댐 신설과 리모델링에 많은 예산이 필요한 만큼 기획재정부 출신 ‘예산통’인 김 후보자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후보자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논의로 지난 정부 때 기틀을 잡았으나 지난 지방선거와 주민 반대로 여건에 변화가 생겼다”면서 “정부는 상·하류 지자체 간 합의점을 찾도록 지원하는 것이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완섭 환경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22일 열린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