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안광진 교수팀과 김영식 교수팀이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염소를 반복적으로 포집한다. 음이온교환수지를 활용해 염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재생할 수 있다.
연구팀은 375㎖의 해수를 공업용수 수준까지 탈염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배터리는 방전 시 염소의 60%가 전극에 잔류해 재생이 어려웠지만, 담수 배터리는 99% 이상 제거해 우수한 재생 능력을 보였다.
담수 배터리는 방전 과정에서 음극에 포집된 나트륨이 배출되며, 동시에 음이온교환수지에 포집된 염소도 함께 배출된다. 양극에서 발생하는 수산화이온(OH-)을 이용해 추가적인 에너지 없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는 원리다.
실제 해수 환경에서도 정상 작동했으며, 약 3.9wt%의 해수를 약 0.7wt% 수준까지 담수화했다. 이 정도 염도는 공업용수로 활용 가능한 수준이다.
안광진 교수는 “이 기술로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와 해수담수화 장비를 하나로 통합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해 지속 가능한 해수담수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영식 교수는 “담수 배터리를 이용한 해수담수화가 차세대 해수담수화 기술로서 상용화되는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