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에 만나는 문인화 산책]사시사철 변화하는 모습을 꾸밈없이 그대로 보여주는 蓮
상태바
[월요일에 만나는 문인화 산책]사시사철 변화하는 모습을 꾸밈없이 그대로 보여주는 蓮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4.08.1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제목: 서산연화 / 재료: 화선지 수묵담채 / 규격: 100×70 (※사진설명 속 화제 : 綠水紅蓮一朶開千花百草無顔色=푸른물에 붉은 연한 봉오리가 피니 천가지 꽃과 백가지 풀이 안색이 없다)
7월 지루했던 장마가 그치고 한여름 햇빛이 따갑다. 해는 서산(西山)으로 반쯤 넘어가고 산사 옆 굽어진 길을 지나 연못에 다다랐다. 연잎에 앉아 더위를 식히던 개구리가 놀라 숨고 그 잔물결에 연꽃이 흔들리고 있다. 연(蓮)은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굵고 속은 비었으며, 옆으로 뻗고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수염뿌리와 잎이 나온다. 연꽃은 7~8월에 피고, 연못이나 수심이 얕은 습지나 호수에서 자란다. 연은 ‘시경(詩經)’ ‘정풍(鄭風)’에는 ‘부거(芙渠)’라고 기록했고, 이후 ‘하(荷)’ 또는 ‘부용(芙蓉)’이라고 했다.

연꽃은 다양한 상징성을 담고 있다. 불가에서 연꽃은 생명의 근원으로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의미한다. 또한 연꽃은 늪이나 연못에서도 깨끗한 꽃을 피워낸다고 하여 처염상정(處染常淨)을 뜻한다. 이것은 나쁜 환경 속에 처해 있다고 할지라도 그 자성(自性)은 결코 더럽혀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꽃이 피는 동시에 열매를 맺는다는 개화즉과(開花卽果)라는 의미도 있다. 모든 중생은 태어남과 동시에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으로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는 사상을 반영한다. 또한 연꽃은 윤회와 환생을 뜻하기도 하는데, 이는 불교의 교리를 상징하는 만다라로 표현된다.

유가에서 연꽃은 군자를 상징하며 문인화에서 사군자와 함께 즐겨 그려진다. 북송시대 유학자인 주돈이(1017~1073)는 ‘애련설(愛蓮說)’에서 “내가 오직 연꽃을 사랑함은, 진흙 속에서 났지만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어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은 비어 있고 위아래가 통한 채 겉은 곧으며, 덩굴지지 않고 번잡하게 가지를 치는 법이 없다. 그 향기가 멀수록 더욱 맑으며, 언제 보아도 그 모습 물 위에 우뚝 곧게 서 있다. 위엄 있는 군자를 우러러보듯 멀리서 볼 수는 있어도 가까이 접근하여 가벼이 할 수는 없다.…그러므로 연은 꽃 중에서 군자라 하겠다(予獨愛蓮之出於 泥而不染 濯淸漣而不妖 中通外直 不蔓不枝. 香遠益淸 亭亭淨植 可遠觀 而不可褻玩焉.…蓮花之君子者也)”라고 한 것에서 비롯됐다. 연이 지닌 덕성과 자연에서 도덕적 가치를 찾아내고자 하는 구도적인 태도와 세속에 대한 의연한 자세가 담겨있다. 이렇듯 연의 식물적 속성과 외형을 인격화시켜 노래하고 있으며, 그 속에 다양한 상징을 담아내고 있다. 연잎, 뿌리, 줄기와 차 등으로 연의 모든 것이 쓰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꽃의 향기,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 등 시각·청각·후각 등 다양한 감각적 요소를 화가는 그림으로 표현하고 관람자는 그것을 감상한다.

수묵화는 서예의 영향, 제지술의 발달, 탄성이 풍부한 붓의 사용과 같은 재료적 측면과 함께 ‘공(空)’의 개념이 더해져 나온다. 흑과 백, 농(濃)과 담(淡)의 대비의 시각적 효과를 통해 수묵이 색채를 대신한다. 예부터 ‘연화도’는 주로 수묵 담채 기법으로 동·식물 요소와 함께 그려져 생태적 특성을 나타내며, 백로·기러기·원앙·물총새 등 조류와 게·개구리·고추잠자리 등의 형태 요소가 계절을 달리해 변화하는 상태와 만나 구체적인 시간성을 나타낸다. 이렇듯 ‘연화도’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경물의 형태 묘사는 봄에서 겨울까지의 경치를 나타내어 사시사철 연의 모습을 다양한 관점으로 그리고 감상되었음도 알 수 있다.

연의 외형은 속이 비어 있는 상태로 넓은 아량을 상징하고 밖의 쭉 뻗은 선은 원칙을 지키는 올곧음(中通外直), 줄기도 가지도 없는(不蔓不枝) 것은 다른 사람의 힘에 의지하지 않고 위세를 부리는 일 없이 순수하게 자신의 진리를 추구하며 살아 나가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외물을 통해 인품을 드러낸다는 이물비덕(以物比德)이란 말이 있다. 자연계에서 실제 존재하는 물상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정감을 예술 소재로 삼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예술 행위를 말한다.

“배우기만 하고 스스로 사색하지 않으면 학문이 체계가 없고, 사색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오류나 독단에 빠질 위험이 있다”(논어,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고 했다. 배우기는 하지만 사색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없다. 지식도 변화해야 한다. 체험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사유해야 한다. 사유하면 다시 체험하고 또 그것을 바탕으로 사유한다. 순간순간 체험과 사유가 같이해야 한다. 체험의 변화는 사유에서 나온다. 체험이 수반되지 않으면 그것은 망상일 뿐이다. 삶이 전부 배움이다(‘송하경 교수와의 대화’, 카페일분에서, 2024년 8월2일). 미세하게 불어오는 바람에 잔잔했던 수면에 파동이 일어난다. 작가는 형상 너머의 느낌을 찾아가는 여정을 화폭에 옮긴다.

서산으로 반쯤 넘어가던 해는 이미 사라지고 이내 하늘과 땅은 검은 먹빛으로 감싸이고 있다. 우리는 무엇을 보았고, 그 속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그것을 안다고 말하는 순간 한계에 갇히게 된다. 사유의 확장은 체험과 끊임없는 사유의 반복에서 나온다. 밝음·어두움··모름은 하나다. 연은 사시사철 변화하는 모습을 꾸밈없이 그대로 보여준다. 그래서 자연이다.

글=김찬호 미술평론가·그림=이재영 문인화가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