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57)웃는 양은 잇밧에도 좋고-작자미상
상태바
[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57)웃는 양은 잇밧에도 좋고-작자미상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5.02.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떤 행동이든 사랑스러운 내 님

웃는 양(樣)은 잇밧에도 좋고 흘기는 양(樣)은 눈씨도 더욱 곱다.
안거라 서거라 걷거라 닫거라 온갖 교태를 다 하여라 허허허 내 사랑 되리로다.

네 부모 너 생겨 내올 쩨 날만 괴게 하로다. <해동가요>

 

▲ 한분옥 시인
▲ 한분옥 시인

예나 이제나 아름다운 꽃과 미인은 꺾이게 마련이다. 들길을 가다가 아름다운 꽃을 보면, 마음 가는 대로 꽃을 꺾어도 본다. 하물며 길 가다가 미인을 만나면 참 이쁘구나 하며 다시 돌아보게 된다. 같은 여성도 그러는데 남성들이야 오죽하겠는가. 점잖은 척 말을 다 못해서 그리하겠지만 남녀가 생겨날 제 이미 서로 끌리게 마련이니 우주의 법칙인 걸 어쩌나. 지금 세상은 남녀평등시대를 사니까 잘못 쳐다봐도 상대가 기분 나쁘게 느낀다면 성추행범으로 취급받는 시대를 사니까 함부로 힐끗 쳐다보는 것도 삼가는 현실이다.

중국의 4대 미인 중 한 명인 서시(西施)는 춘추전국시대 월(越)나라 여인이다. 서시는 평소 심장병이 있어 자주 얼굴을 찡그렸는데, 이마를 찌푸려도 더 아름다운 서시를 보고, 이 마을 여자들은 자기도 찡그리면 아름다워 보일까 하여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다녔다고 한다. 월(越)왕 구천에 의해 오(吳)왕 부차에게 미인계로 바쳐져, 오 나라를 망하게 했던 그녀야말로 경국지색이다.

조선의 성군인 세종대왕은 왕비 소헌왕후 외에도 17명의 후궁을 들였다. ‘왕은 무치(無恥)다’ 왕은 수치를 느끼지 않는다. 하여 왕손을 많이 낳아 왕가를 튼튼하게 이어가야 할 의무가 왕에겐 주어져 있었지만 과연 소헌왕후의 속앓이는 어떠하였겠나.

위 시조는 평시조의 형식에서 벗어난 엇시조이다. 미인의 웃는 양, 눈 뜨는 양, 서는 양, 앉은 양, 걷는 양, 내닫는 양 등 온갖 양태와 교태의 아름다움을 느낀 그대로 그렸다.

강물에 비친 서시의 얼굴을 보고 물고기들도 헤엄치는 방법을 잊고 가라앉았다 했다. 아름다운 여인은 찡그려도 미운 짓을 해도 이쁘다는 것인가. 하물며 사과 열 개의 맛이 다 다르다고 하니. 한분옥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