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종래 UNIST 총장은 지난 11일 학교 공학관에서 열린 이세돌 특임교수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는 UNIST가 AI 스마트 캠퍼스를 구축하는 원년이자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는 해”라며 “1인 1생성 AI 체계를 마련해 학습, 연구, 창작의 전 과정을 혁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UNIST AI 스마트 캠퍼스의 경우 교육, 연구, 행정 전반에 첨단 AI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국내 대학 최초의 시도라고 UNIST는 설명했다.
AI 기반 융합 교육과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울산 산업체를 대상으로 실무 중심 AI 교육을 통해 지역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끈다는 전략이다.
UNIST는 AI 기반 교육 혁신을 위해 AIX 융합형 인재 양성, 연구 인프라 확충, 행정 혁신 등 다방면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다.
올해 상반기부터는 AI 플랫폼 시범 구축과 활성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AI 활용 교육과 지역 산업체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한다.
특히 AI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강화하고, 자체 AI 시스템인 소형언어모델(sLM)과 자율화 실험실(Autonomous Lab)을 개발·구축해 AI 기반 연구 환경을 확장한다.
박 총장은 “UNIST가 올해 이세돌 교수와 함께 AI 스마트 캠퍼스를 실현해 울산을 AI 제조업 혁신의 허브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세돌 전 프로바둑기사를 특임교수로 초빙한 배경에 대해서는 “급변하는 AI 시대 속에서 기존의 교육과 연구 방식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왔다”며 “그 답을 찾는 여정 속에서 상징적 인물인 이 교수를 초빙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 UNIST 특임교수가 된 이 전 프로바둑 기사는 AI와 인간의 창의적 사고 융합 경험을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박 총장은 “이 교수는 인간과 AI 사이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이끌었던 인물”이라며 “그 통찰과 경험을 공유하고 AI 기술을 보다 넓고 깊은 시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교육과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AI를 활용한 학문 간 융합, 산업 연계, 창의 인재 양성을 통해 새로운 교육과 연구의 기준을 제시하겠다”며 “그 모든 활동이 이 교수와 함께 큰 열매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