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 자랑하는 세계적 문화유산인 반구천의 암각화는 오는 7월로 예정된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시교육청은 암각화의 가치를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이해하도록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초등학교 3~4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재에는 학생 눈높이에 맞춘 반구천의 암각화 관련 내용을 포함했다. 2026학년도 교재 개정 시에는 최신 정보와 자료를 반영해 더 내실 있게 구성할 예정이다.
중학교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자율시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울산 탐구생활’을 고시 외 과목으로 승인했다. 중학생들이 반구천의 암각화 역사적 의미와 지역 문화재 보존의 중요성을 탐구하는 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중학교-고교학점제 전환기 교육과정 이음자료(3단계)에는 ‘울산의 역사·유적’과 ‘자연환경’ 관련 주제에 반구천의 암각화를 반영했다.
아울러 학교 밖 청소년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공교육 토론아카데미’에서는 학생들이 암각화의 가치와 보존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지역사회 연계 학생참여교육 운영학교를 대상으로 반구천의 암각화 보존 문제 관련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하반기에는 ‘울산학생 참여 한마당’ 행사를 열어 향후 교육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울산교육연수원에서는 교사 대상으로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등재 기원 활동을 실시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앞두고 반구천의 암각화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울산의 미래 세대가 지역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깨닫고 보존 활동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