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직장인들이 많아 ‘젊은 도시’로 불리던 울산이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다.
2~3년 내로 초고령사회 진입이 확실시되면서 울산시는 고령자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등 고령친화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울산 인구 109만4114명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는 19만3577명으로 전체의 17.7%를 차지했다.
2011년 노인 비율이 7% 이상인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던 울산은 불과 10여 년 만에 노인 인구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UN은 노인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울산은 고령사회 진입 이후 인구 구조의 급속한 변화를 겪으면서 초고령사회 진입도 눈앞에 두고 있다. 현재 속도라면 빠르면 2027년, 늦어도 2028년에는 전체 인구 중 노인 비율이 20%를 넘어설 전망이다.
울산 내 각 구·군별 고령화 양상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0월 중구는 노인 인구 비율이 20.0%를 기록하며 지역 구·군 최초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어 올해는 울주군도 초고령사회에 합류했다. 4월 말 기준 울주군 전체 인구 21만8392명 중 4만4108명이 65세 이상으로, 노인 비율이 20.2%에 달했다.
군에서는 농촌을 중심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두서면은 노인 비율이 무려 51.8%로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노인이다. 삼동면은 49.5%, 두동면은 40.6%, 상북면은 38.0%로 고령 인구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 반면 군 내에서도 도시화된 범서읍은 노인 비율이 13.4%로 울산시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울산 5개 구군 가운데 북구는 고령화 속도가 비교적 완만했다. 북구는 전체 인구 21만5684명 가운데 노인 비율이 12.2%인 2만6277명에 불과했다.
시는 이러한 인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9년 12월 ‘제1기 고령친화도시 실행계획(2020~2022년)’을 수립하고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국제 네트워크에 가입했다. 이듬해 3월 제1기 인증을 받은 데 이어 2023년 5월에는 ‘제2기 고령친화도시’로 재인증을 받으며 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했다.
‘늘 삶이 좋은 도시, 고령친화도시 울산’을 비전으로 내건 제2기 실행계획은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추진된다.
정책은 △삶의 질이 좋은 도시 조성 △일자리·여가·사회참여 확대를 통한 활력도시 구현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건강도시 조성 등 3개 영역에 걸쳐 36개 세부 과제를 담고 있다.
주요 과제에는 고령자 맞춤형 복지 서비스 제공과 노인 일자리 확대, 고령자 주거급여 지원과 선진 교통체계 구축 등이 포함됐다.
시는 이를 통해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불안을 해소하고, 노인들도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사회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고령친화도시 실행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노인이 존중받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도시, 고령친화도시 울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