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일보가 주최하는 ‘2025 울산혁신콘퍼런스’가 1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 A1홀에서 열린다. ‘울산 산업 미래, AI혁신이 열쇠’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콘퍼런스는 산업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울산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심도 깊게 논의하는 자리로 산·학·연 전문가와 기업 관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는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를 가진 울산이 AI 기술을 바탕으로 한 미래 전략을 구체화하고, 산업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제조업 강자’ 울산이 현장 전문성을 기반으로 AI 인재를 양성하고, AI 연구&개발(R&D) 기능을 강화해 세계적인 산업 AI 혁신 거점으로 도약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다양한 발표를 통해 강조될 예정이다.
기조강연에 나서는 주영섭 서울대 특임교수는 “산업혁신은 단순한 기술 진보를 넘어 디지털 대전환(DX)과 AI 대전환(AX)을 통해 인류와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울산은 기존 제조 인프라를 토대로 산업 특화형 에이전트 AI와 물리 기반 AI를 집중 육성할 경우 글로벌 선도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다”고 했다.
즉, AI는 미래 사회의 목적 지향적 기술혁신을 이끄는 핵심 축이자,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거대한 패러다임 혁명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AI 적용 사례들도 콘퍼런스를 통해 구체적으로 소개된다.
임우형 LG AI연구원 상무는 산업용 AI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물류, 경영 전반에서 나타나는 혁신 사례들을 발표한다. LG그룹 내에서는 생성형 AI 모델 엑사원(EXAONE)을 활용한 사내 Q&A 시스템, 공정 비전 검사 자동화, 스케줄링 최적화, 소재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업의 업무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김영옥 HD현대 상무는 조선, 건설기계, 에너지 등 그룹 내 핵심 산업에 Agentic AI(자율적으로 행동하는 AI 시스템)와 생성형 AI를 적극 도입한 사례를 발표한다.
HD현대는 AI 기반 설계, 예지정비, 안전 솔루션 등 ‘AI 통합형 제품군(AI-Integrated Product Mix)’을 중심으로 전사적 AI 전략을 추진 중이다. HD현대는 ‘Applied AI First’를 모토로 AI를 통한 생산성 혁신뿐 아니라 상품화 가능한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AI 에이전트가 실제 공정과 비즈니스의 핵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SK에너지도 ‘Smart Plant 2.0’ 전략을 기반으로 울산CLX 내 공정 최적화와 디지털화를 동시에 추진 중이다. SK에너지가 운영하는 AI 기반의 회전기계 예지정비 솔루션(SKADI), 품질예측 AI 센서, 모바일 작업허가 시스템 등은 고장 사전예측, 안전관리, 운영 효율성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현장 문제(Pain Point)에 맞춘 맞춤형 AI 솔루션을 자체 개발함으로써 지식 자산화와 사업화 모델을 동시에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 현장의 AI 전환 흐름에 발맞춰 울산시는 ‘울산형 인공지능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 주도형 AI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공유하고, 울산이 글로벌 산업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AI는 산업을 넘어 도시의 미래를 바꾸는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콘퍼런스를 계기로 울산이 산업현장 중심의 AI 실증과 인재 양성, 기업 유치 전략을 정교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