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실전형 합동훈련, 30㎏ 장비 차고 물속에서 15분만에 구조
상태바
[르포]실전형 합동훈련, 30㎏ 장비 차고 물속에서 15분만에 구조
  • 김은정 기자
  • 승인 2025.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2일 울산 북구 신명방파제 일원에서 여름철 수난사고에 대비한 합동훈련이 진행됐다. 구조대원들이 구조된 인명구조마네킹에 CPR을 하고 있다.
“물이 아직 차가워요. 그래도 들어가야죠”

12일 오전 울산 북구 신명방파제. 두꺼운 잠수복을 입은 한 구조대원이 바다를 내려다보며 말끝을 흐렸다. 30㎏에 가까운 장비를 둘러맨 그는 잠시 숨을 고른 뒤 장비 점검을 마친 동료들과 함께 바다 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북부소방서는 이날 오전 10시 북구 신명방파제 일원에서 여름철 해양 익수사고에 대비한 실전형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북부소방서 수난구조대와 수난전문의용소방대 등 총 45명이 참여했다. 북부소방서는 구조보트, 잠수장비세트, 인명구조마네킹 ‘애니’, 드로우백, 수중카메라 등 7종 26점의 구조장비를 동원했다.

훈련은 여름철 빈번한 익수사고 발생을 가정해 진행됐다. 실제로 낚시객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방파제 인근 해역에 마네킹을 띄워놓고 구조대가 수중 수색을 통해 구조해내는 방식이었다.

훈련은 수난의용소방대 8명이 먼저 투입되며 시작됐다. 입수 전 약 30㎏에 달하는 산소통 등 장비를 점검한 뒤 바다에 진입했다. 현장에는 10년 이상 경력을 지닌 베테랑 대원도 포함돼 있었다.

대원들은 방파제에 로프를 단단히 고정하고 서로를 의지하며 수중 수색을 벌였다. 수색 시작 15분 만에 마네킹을 찾아낸 구조팀은 수면 위로 구조 대상을 끌어올려 복귀했다.

이어 수난구조 전문 3개 팀이 차례로 투입돼 구명부환과 로프를 활용해 반경을 넓혀가며 수색을 재개했다. 마지막 투입 팀이 마네킹을 구조해 물가로 옮기자 기다리던 강동구급대가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했다.

소방 관계자에 따르면 울산 수난사고는 매년 200건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연도별 사고 건수는 2020년 266건, 2021년 276건, 2022년 203건, 2023년 280건, 2024년 234건으로 집계됐다. 사고는 바다뿐 아니라 저수지, 하천, 계곡, 수영장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

10년 넘게 수난 구조에 참여해온 박영재 북부소방서 소방장은 “야간 구조는 시야 확보가 어렵고 예측할 수 없는 변수가 많다”며 “구조는 수면에서 요구조자를 확보한 뒤 보트 등으로 이송하는데 상황이 급박하게 흘러가기 때문에 빠른 신고와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골든타임은 단 5분. 바다에 빠진 사람을 이 시간 안에 구조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실제로 신고를 받은 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는 데에는 평균 10분 이상이 소요되며 도착 이후 구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최초 신고자가 사고 위치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는 관건이라는 것이 소방 관계자의 설명이다.

김철수 북부소방서 예방총괄팀장은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면 본능적으로 함께 들어가려 하지만 그건 또 다른 익수자를 만드는 위험한 선택”이라며 “설치된 구명부환이나 드로우백을 던져 잡도록 유도하고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지켜보는 것이 최선이다”고 말했다. 이어 “구조 직후 골든타임 내 실시되는 흉부압박은 생존율을 2~3배 높인다”며 “가까운 소방서나 안전체험관 등에서 CPR 교육을 꼭 받아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글·사진=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