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소비 침체가 깊은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주력 제조업의 수출 부진으로 고용시장이 불안정해지고 가계 소득이 감소하면서 소비가 위축되며, 내수 침체가 깊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울산시와 지자체, 유관기관들이 침체된 지역 소비를 회복하고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울산시와 울산상의, 울산지방중소기업청,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은 3일 ‘소상공인 살리기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울산페이와 온누리상품권 구매 촉진 캠페인을 전방위적으로 추진하며, 기업들이 복지비를 지역상품권으로 지급하도록 강력히 유도하고, 울산페이 이용 기업에는 최대 7%의 추가 충전금을 제공하는 파격적인 지원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울산페이의 캐시백 적립률을 기존 7%에서 10%로, 월 이용 한도는 2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특히 전통시장 등 일부 업종에서는 캐시백 적립률을 최대 15%까지 적용해 소비를 적극적으로 촉진하고 있다. 봄철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울주군은 산불피해 특별재난지역 주민들에게 울산페이 캐시백을 최대 25%까지 확대 적용한다. 재난 복구와 동시에 소비진작을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울산은 트럼프 미행정부의 고율 관세정책 여파로 내수 시장까지 큰 타격을 입고 있다. 5월 울산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7% 감소하며, 4월(-3.2%)보다 감소폭이 더욱 확대됐다. 소비침체는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울산의 5월 소비지수(대형소매점 판매액)는 전년 동월 대비 6.6% 감소하며 4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했다.
자영업자의 폐업률은 지역 소비 위축의 가장 명백한 지표로, 울산의 자영업 폐업률(2024년)은 56.6%로 전국 최고 수준에 달했다. 2020년 팬데믹 당시 1만8612명이 문을 닫은 이후 폐업 규모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으나, 지난해에는 다시 1만8000명대로 치솟았다. 특히 커피전문점, 편의점, 호프집, 옷가게, 화장품 매장 등 생계형 자영업자 휴·폐업이 줄을 이으면서 골목상권이 급격히 붕괴되고 있다.
울산시와 지역 기관의 이번 민관 협약은 단순한 구매 장려를 넘어선 ‘지역 소비 협력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회성 성과에 그치지 않으려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자영업자의 디지털 전환, 청년층과 가족 단위 소비층의 정착 유도, 지역 유통망 재정비 등 지속 가능한 소비 생태계 구축이 뒤따라야 한다. 지역 소비 구조를 회복시키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